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나머지 정리 인수정리 조립제법
- 일차함수그래프 이차함수그래프 절댓값그래프
- 순열 원순열 중복순열 조합 중복조합
- 서울과고 경기과고 한과영 대전과고 대구과고 광주과고 세종과예영 인천과예영
- 판별식 실근 허근
- 집합 원소 진부분집합
- 도형의자취 평행이동 대칭이동
- 이차부등식 연립이차부등식
- 인수분해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 복이차식 인수분해 문자2개이상인수분해
- 명제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
- 이차함수의 최대최소 산술평균 기하평균
- 부등식의 증명 연립부등식 절대부등식 산술기하평균 부등식
- 유리수 무리수 실수 실수의분류 이항연산 닫혀있다 실수의성질 절댓값 부등식성질
- 무리함수그래프
- 원의방정식 접선의길이
- 집합의연산법칙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차집합 서로소
- 연립방정식 부정방정식
- 일차방정식 이차방정식 N차방정식 실계수이차방정식 유리계수이차방정식
- 근과 계수와의 관계 근의 부호
- 합성함수 역함수
- 직선의방정식 점과직선사이의거리 삼각형의넓이
- 유리함수 점근선 분수함수
- 복소수 실수부 허수부 복소수상등 복소수연산 켤레복소수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 근의 분리
-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 내분점 외분점
- 애플워치8
- 항등식 계수비교법 수치비교법 나눗셈원리
- 탄천 종합 운동장 코로나 예방접종
- 서울과고 경기과고 한국과학영재학교 대전과고 대구과고 광주과고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 경우의수 약수의개수
Archives
- Today
- Total
Math Family(천샘의 기하누설)
초등 사고력을 키우는 사고력 수학 문제 본문
반응형
[PROBLEM24.3.30]
“아이작 뉴턴은 사과나무 아래에서 사과를 관찰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사과를 친구들에게 차례로 나눠주었는데, 첫 번째 친구에게는 8개와 남은 사과의 1/2을, 두 번째 친구에게는 6개와 남은 사과의 1/2을, 세 번째 친구에게는 4개와 남은 사과의 1/2을 주었습니다. 이렇게 모두 나눠주고 나니 뉴턴에게는 사과가 10개만 남았습니다. 뉴턴이 처음에 가지고 있던 사과는 몇 개였을까요?”
인공지능(AI) 풀이 : (24.3.30일자 CHAT GPT3.5풀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을 풀면 뉴턴이 처음에 가지고 있던 사과의 수를 알 수 있습니다. 방정식을 단계별로 풀어보겠습니다:
- 먼저, 각 단계에서 남은 사과의 1/2을 계산합니다.
- 그 다음, 각 단계에서 주어진 사과의 수를 빼줍니다.
- 마지막으로, 남은 사과의 수가 10개가 되도록 방정식을 풀어줍니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서 뉴턴이 처음에 가지고 있던 사과의 총 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수학적 사고와 논리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예시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상황을 그려보고 뒤에서 부터 풀어 보면 처음 가지고 있던 사과는 총 116개 임을 알 수 있다.
검산을 해보면 첫째는 8+54=62, 둘째=6+24=30, 셋째=4+10=14, 마지막=10 이므로 62+30+14+10=116이다.
반응형
'Math Family > Elementary Math(초등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사고력 오늘의 문제 (0) | 2024.04.01 |
---|---|
초등학생 때 꼭 알아야 할 사고력 : 오늘의 문제 (0) | 2024.03.31 |
AI (코파일럿,chatgpt)는 초등수학을 어느정도 풀 수 있는가? (1) | 2024.02.18 |
딸과 함께하는 초3 수학 세 자릿 수 덧셈 및 뺄셈 (0) | 2023.05.30 |
초3 덧셈과 뺄셈 딸과 함께 공부하기 (0) | 2023.05.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