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Math Family(천샘의 기하누설)

AI와 함께 하는 영어회화! 151~175 본문

My english story/Live English

AI와 함께 하는 영어회화! 151~175

1000기누설 2024. 4. 28. 16:13
반응형

**A**: "No biggie, but I thought you were going to win the game."
**B**: "I knew it was a tough match. What gives?"
**A**: "That call from the referee was whack."
**B**: "Please take a seat, let's watch the replay. Please bear with me."
**A**: "Give it a rest, we lost fair and square. Enough is enough!"
**B**: "I'm feeling blue about it too, but good riddance, the season's over."
**A**: "I feel better now that we can rest. But I'm under the weather, caught a cold."
**B**: "I'm actually under the weather too. I'm zonked after all these games."
**A**: "I'm faded from the celebration last night, and I'm salty about that loss."
**B**: "No cap, you played well. You slay on the field!"
**A**: "That's dope to hear! But that's sus, you never compliment me."
**B**: "Peep this out, I got us tickets for the next game!"
**A**: "Let's call it quits for tonight. Let's just call it a day and get some rest."

 

해석:

 A: “별일 아니지만, 네가 게임에서 이길 줄 알았어.” B: “힘든 경기였다는 걸 알았어. 무슨 일이야?” A: “심판의 판정이 말도 안 돼.” B: “자리에 앉아서 리플레이를 보자. 나 좀 기다려줘.” A: “됐어, 우린 공정하게 졌어. 됐다고!” B: “나도 기분이 우울해. 하지만 다행이야, 시즌이 끝났으니까.” A: “쉴 수 있어서 기분이 나아. 하지만 감기 걸려서 몸 상태가 안 좋아.” B: “나도 사실 몸 상태가 안 좋아. 이 모든 게임들 끝나고 나니 완전 지쳤어.” A: “어젯밤 축하하느라 지쳤고, 그 패배가 짜증나.” B: “거짓말 안 해, 넌 잘했어. 넌 경기장에서 짱이야!” A: “그렇게 들으니 기분이 좋아! 하지만 그게 수상해, 넌 나를 칭찬한 적이 없잖아.” B: “이거 봐봐, 다음 게임 티켓을 끊어놨어!” A: “오늘은 여기까지 하자. 오늘은 그만하고 쉬자.”

 

"No biggee"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별일 아니야” 또는 **“대수롭지 않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표현은 어떤 상황이나 문제가 크게 중요하지 않거나 걱정할 필요가 없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실수를 했을 때, 그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what gives"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무슨 일이야?” 또는 **“어떤 새로운 일이 있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상대방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물어볼 때 사용됩니다. 또한, 때때로 무언가 이해가 되지 않거나 설명이 필요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That’s whack"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그거 이상해” 또는 **“그거 별로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표현은 보통 어떤 것이 매우 이상하거나, 기대에 못 미치거나, 불쾌할 때 사용됩니다  

 

"enough is enough"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더 이상은 안 된다” 또는 **“그만하면 충분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이 표현은 어떤 상황이나 행동이 지속되는 것을 더 이상 참거나 허용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의 행동이나 상황이 불쾌하거나 용납할 수 없을 때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 feeling blue"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우울해요” 또는 **“기분이 안 좋아요”**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표현은 사람이 슬프거나 우울한 감정을 느낄 때 사용됩니다  

 

"Good riddance"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속이 시원하다” 또는 **“후련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이 표현은 귀찮은 일이나 싫은 일, 또는 원치 않는 사람이 사라져서 기쁘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습관을 버렸을 때나, 싫어하던 사람과의 관계를 끝냈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 under the weather"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몸이 좀 안 좋아요” 또는 “컨디션이 안 좋은” 상태를 의미합니다12.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아프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사용되며, 심각한 병보다는 감기나 가벼운 불쾌감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I’m zonked"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너무 피곤해” 또는 **“완전히 지쳤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이 표현은 보통 매우 피곤하거나, 잠이 부족하거나, 무언가에 지쳐서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I’m faded"라는 표현은 은어로 사용될 때 대마초에 취해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아주 취해 있어서 안 좋은 경험들을 잊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1. 또한,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피곤하거나 지쳤을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He looks so faded. Are you guys smoking?” (그는 매우 취해 보여. 당신들 대마초 피고 있나요?) 또는 “You can tell she’s faded by the relaxed expression on her face.” (그녀의 편안한 표정을 보면 그녀가 취해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와 같이 사용됩니다  

 

"I’m salty"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짜증나” 또는 **“화가 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이 표현은 보통 누군가가 상황이나 결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불쾌함을 느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 지고 나서 기분이 나쁠 때 "I’m feeling salty"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No cap"이라는 표현은 영어 슬랭으로, 한국어로 “진짜야”, “거짓말 아니야”, 또는 **“뻥 아니고”**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이 표현은 일상 대화에서 진심을 강조하거나, 어떤 말이 사실임을 확신시키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 really passed the test, no cap!"는 "나 정말 시험에 합격했어, 거짓말 아니야!"라는 뜻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you slay"라는 표현은 영어 슬랭으로, 한국어로 **“찢었다”**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는 누군가가 무언가를 매우 잘 해냈을 때 사용하는 칭찬의 말로, “너 정말 멋져” 또는 "너 정말 대단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That’s dope"라는 표현은 한국어로 “쩔어” 또는 **“대박”**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2. 이는 무언가가 매우 멋지거나 인상적일 때 사용하는 영어 슬랭입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음악이나 영화, 혹은 멋진 옷차림 등을 칭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at’s sus"라는 표현은 영어 슬랭으로, 한국어로 “수상하다” 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무언가가 의심스럽거나 믿을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Peep this out"은 영어 슬랭으로, 한국어로는 “이거 봐” 또는 **“이것 좀 확인해봐”**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이 표현은 누군가에게 어떤 것을 주목하거나 살펴보도록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새로운 물건을 보여주고 싶을 때 "Yo, peep this out"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