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Math Family(천샘의 기하누설)

"글로벌 6G 선도에 5년간 2200억 투자" 본문

생활에 도움이 되는 뉴스~

"글로벌 6G 선도에 5년간 2200억 투자"

1000기누설 2021. 6. 24. 16:37
반응형

6G 연구 사업은 5대 중점분야, 8대 전략과제로 나뉘어 각 기관이 진행한다.

초성능/초대역 분야는 6G후보 대역인 테라헤르츠(THz)에서 테라바이트(Tbps)급 전송속도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진은 관련 무선통신, 광통신, 무선주파수(RF)부품, 안전성 평가 기술을 개발해 고속/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초공간 분야는 기존 세대에 없던 기술 분야다. 이동통신, 위성통신 기술을 융합해 해상/오지/재난 상황에서도 기가(Gbps)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3차원 공간 통신'기술을 개발한다. 고도 120M이하로 제한된 현재 이동통신 한계를 극복하고 달리는 자동차나 비행기, 드론에서도 통신이 원활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초지능/초정밀 전달 분야는 간섭이 많은 환경에서도 접속이 원활하도록 하는 '지능형 무선 액세스기술', 사용자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6G코어 네트워크 기술', 원거리에서도 데이터 지연 차이를 줄이는 '종단간 고정밀 네트워크 기술'을 다룬다.

정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올해 179억원을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총 2200억원을 투자하고 2021년을 GLOBAL 6G MARKET을 선도할 원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미국과 6G 협력 체제를 구축, 100억원을 공동 투자 하기로 했다.

회의에는 SK텔레콘/KT/LG유플러스,삼성전자,LG전자,AP위성,주한미국대사관 등 민관해외 전문가가 참석해 6G계획을 점검했다.

올해 중점 연구 분야1.테라바이트(Tbps)급 전송을 위한 전송 및 접속 기술 정립. 2.위성등을 활용한 공간 토인 정송및 접속 기술 요구사항 분석 3.초저지연 제어와 지능형 무선전송 및 접속 요구사항 분석 4. 6G보안 문제 요구사항 설계등 12개 과제에 179억원을 지원한다.

반응형
Comments